사전예약하기
프로그램명
 
일시
신청자명
연락처
- -
예약인원
비밀번호
(4자리)
예약하기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사전예약 완료
 
예약확인은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나의 사전예약 검색
신청자명
연락처
- -
비밀번호
(4자리)
검색
안내사항

사전예약 시 입력하셨던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4자리)로 신청내역 검색이 가능합니다.

신청 취소는 예약 마감일(10월05일)까지 가능하며 수정 시에는 인원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청자명 또는 연락처 수정 시에는 삭제 후 다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2023전주세계소리축제 2023.09.15.~09.24
지키는 것과 변하는것은 같다
그게 우리를 살아있게 하니까!

언론속 소리축제

[세계일보]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 16일 개막, 열흘간 76회 공연 잔치
관리자2022-09-17 13:45:14266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가 16일 오후 7시 전북 전주시 한국소리문화의전당에서 개막해 25일까지 열흘 간의 소리의 

향연을 펼친다. 올해는 전통 판소리부터 실감형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한 뮤지컬까지 더 풍성하고 밀도 있는 음악 

공연을 선보인다. 전주세계소리축제 조직위원회에 따르면 2022 전주세계소리축제는 이날 오후 7시30분 개막 공연 

‘백년의 서사’를 시작으로 포르투갈, 스페인 등 해외 5개국 뮤지션들과 함께 76차례에 걸쳐 다채로운 공연이 관객의 

눈과 귀를 즐겁게 한다.

 

특히 올해는 축제 일정을 기존 5일에서 10일로 2배 늘리고, 장소도 주요 공연 무대인 한국소리문화의전당 외에도 

부안 채석강과 전주 치명자산성지 평화의전당, 덕진공원 연화정도서관 연화루 등으로 넓혔다. 실내 공연 중심의 단조

로움을 벗어나 지역 명소와의 승수효과를 노린 것이다.


개막 공연 백년의 서사는 조선 후기를 풍미한 다섯 명창(정정렬, 김창룡, 김창환, 이동백, 송만갑)의 소리와 현대 예술가

들의 시공을 초월한 협업 무대로 ‘더늠 정신’을 조명한다. 더늠은 판소리 용어에서 나온 말로 ‘더 넣다’라는 뜻이다. 소리꾼이 

치열하게 자신만의 영역을 개척해 이룬 자신만의 영역을 일컫는다. 공연은 전통과 현대, 월드뮤직과 복합장르 등을 7개 섹션

으로 편성했다. 다채롭고 수준 높은 공연도 대거 마련했다. 정상급 소리꾼 방수미, 박애리, 정상희 명창이 함께하는 ‘심청 패러

독스’는 판소리를 소재로 한 소리축제의 의욕적인 기획 프로그램으로 꼽힌다. 디지털 기술도 접목했다. 개막공연 ‘백년의 서사’

를 비롯해 환상적인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가족뮤지컬 ‘알피(ALPI)’, 왕기석 명창의 ‘수궁가’ 채석강 편: 온라인 스트리밍, 국악 

인공지능(AI) 학습데이터 해커톤 기계학습데이터 매핑_sori N, 메타버스 어린이 그림 전시 등이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와 KBS교향악단이 하모니를 이룬 ‘접점’, 마에스트로 정명훈 실내악 콘서트, ‘안예은 콘서트: 전주 상사화’, 

판소리 기반의 창작 작품 4개를 포진한 ‘소리 프론티어 시즌2’, 현대 미니멀 음악가 테리 라일리의 작품 ‘인 씨(In C)’를 30여명의 

연주자들이 협연하는 폐막공연 ‘전북청년열전-In C’ 등도 주목할 만하다. 박재천 전주세계소리축제 집행위원장은 “올해 축제는 

디지털과 지역 브랜딩, 예술의 고도화를 어떻게 구현해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아티스트와 관객들이 함께 찾아가는 과정이 

될 것”이라며 “그동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따른 온라인 상영 등에 대한 아쉬움을 털어내고 풍성한 공연을 만끽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기사원문보기: 

https://www.segye.com/newsView/20220916503840?OutUrl=na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