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하기
프로그램명
 
일시
신청자명
연락처
- -
예약인원
비밀번호
(4자리)
예약하기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사전예약 완료
 
예약확인은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나의 사전예약 검색
신청자명
연락처
- -
비밀번호
(4자리)
검색
안내사항

사전예약 시 입력하셨던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4자리)로 신청내역 검색이 가능합니다.

신청 취소는 예약 마감일(10월05일)까지 가능하며 수정 시에는 인원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청자명 또는 연락처 수정 시에는 삭제 후 다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2023전주세계소리축제 2023.09.15.~09.24
지키는 것과 변하는것은 같다
그게 우리를 살아있게 하니까!

언론속 소리축제

[프레시안] "올해 전주세계소리축제 키워드는 상생과 회복…변화 모색"
관리자2023-05-26 14:45:1712

조직위, 로고·포스터 등 공개...예술성과 축제성 두루 갖춘 축제로 새롭게 변화 시도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회(조직위원장 이왕준, 이하 소리축제)가 2023 소리축제 키워드와 공식 포스터 및 새 로고, 축제 기간 등을 공개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소리축제는 올해 초 이왕준 조직위원장과 김희선 집행위원장이 새로 취임했으며 이를 계기로 다양한 변화를 예고하고 있으며 보다 획기적인 축제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

올해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집행위원회에 예술분과위원회의 성격을 부여해 축제의 예술적 수준을 강화한 점이다. 

▲ⓒ



분야별 9명의 예술가를 분과위원으로 위촉하고 각 위원들과의 협업을 통해 최고의 예술가와 작품들로 올해 라인업을 구축했다. 

또한 예술성과 축제성 양 축을 놓치지 않기 위해 당대의 명인 명창, 최고 수준의 예술가와 작품들로 프로그램을 구성해 최고의 공연을 감상하며 축제를 즐길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 

그동안 소리축제는 매년 주제를 정해 프로그램에 축제의 방향을 제시해 왔다. 올해부터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담은 키워드를 제시해 주제 안에 갇히기보다 축제의 본질에 더욱 다가간다는 계획이다.   

올해 소리축제의 키워드는 상생과 회복(Coexistence and Resilience)이다. ‘상생’에는 전염병, 환경문제 등 인류의 여러 어려움을 음악으로 극복하겠다는 의미와 전통음악이 월드뮤직, 한국의 클래식, 대중음악 등 다양한 한국의 소리와 서로 만나 상생한다는 의미를 담았다. 

‘회복’은 코로나 이후 전면 대면 축제의 첫해로 축제성을 회복하고 동시에 전통음악의 정통성과 공연의 예술성을 회복하겠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2023 소리축제 로고는 소리축제를 대표하는 소리를 영어 표기한‘SORI’각 글자에 각각의 의미를 담았다. 

‘S’에는 전통과 현대의 이어짐을 형상화했고 ‘O’에는 널리 퍼져나가는 우리 소리의 이미지를 담았다.  한국의 전통매듭을 차용한 문양으로 표현한‘R’에는 전통과 동시대, 지역과 세대, 한국과 세계가 축제의 장 안에서 화합하는 의미를 담았으며 ‘I’에는 동시대 한국의 소리를 미래로 확장하겠다는 소리축제의 의지를 디지털의 이미지로 형상화해 담았다.

새로운 로고를 시각화해 디자인한 올해 소리축제 포스터는 ‘오늘우리 소리를 내일로 잇는 축제’라는 콘셉트로 트렌디하고 스타일리쉬하게 표현했다.  

또한 자연을 닮은 일상의 네 가지 색을 재해석해 현대적으로 이미지화한 로고의 주조색을 활용해 소리축제의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생동감 있는 소리축제의 의미를 강조했다. 

다양한 변화와 함께 새롭게 거듭날 올해 소리축제는 9월 15일부터 24일까지 열흘간 한국소리문화의전당과 전주한옥마을 일대(동헌, 대사습청, 전동성당 등)와 전북 14개 시군에서 열린다. 

김희선 집행위원장은 “전북을 대표하는 소리축제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음악 축제로 성장하며  예술가와 관객 모두가 즐거운 축제가 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 소리축제의 최종 라인업과 프로그램, 티켓 오픈은 7월 14일에 공개될 예정이다. 



[기사원문보기]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2023052310180476316?utm_source=naver&utm_medium=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