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하기
프로그램명
 
일시
신청자명
연락처
- -
예약인원
비밀번호
(4자리)
예약하기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사전예약 완료
 
예약확인은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나의 사전예약 검색
신청자명
연락처
- -
비밀번호
(4자리)
검색
안내사항

사전예약 시 입력하셨던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4자리)로 신청내역 검색이 가능합니다.

신청 취소는 예약 마감일(10월05일)까지 가능하며 수정 시에는 인원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청자명 또는 연락처 수정 시에는 삭제 후 다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ENG

 

언론 속 소리

[KBS뉴스] 한·러 예술의 만남 ‘엇모리 볼레로’
관리자 | 2021-02-17 16:16:45 | 596

[앵커]

코로나19 탓에 취소될 뻔한 한국 전통음악과 러시아 클래식의 협연이 새로운 방식으로 탄생했습니다.

전주와 상트페테르부르크, 가장 예술적인 두 도시의 만남, 어떤 모습인지 오정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포트]

한국 전통 엇모리 장단을 얹은 서양의 춤곡 볼레로.

당의를 빼입은 무희의 섬세한 발디딤은 기교가 넘치되, 기품은 잃지 않습니다.

설장구가 채를 굴릴 때마다 심포니의 장엄한 선율이 쌓여가고, 마침내 장구 놀음의 경쾌한 장단도 고조에 이릅니다.

전주 세계소리축제와 러시아 페테르부르크 콘체르토의 영상 협연.

한국의 전통음악과 러시아 클래식을 시공간을 건너뛰어 버무렸습니다.

[조상훈/전라북도 무형문화재 부안농악 이수자 : "서정적인 소리라든지 여러 선율이 계속 이어가기 때문에 우리 장단을 서로 조화롭게 만드는 데 있어서 굉장히 집중하고."]

한러 수교 30주년을 기념해 지난해 10월 직접 무대에서 선을 보이기로 기획했지만, 코로나19 탓에 무산될 뻔한 협연.

러시아에서 보내온 영상으로 배경을 만들고, 그 안에 작은 무대를 꾸려 한국 전통의 소리와 춤을 얹었습니다.

[예카테리나 아르투쉬키나/페테르부르크 콘체르토 대표 : "우리에게 이번 작업은 무척 새롭고 특별한 프로젝트입니다. 이처럼 어려운 시기에 온라인으로 함께 할 수 있다는 사실이 무척이나 즐겁고 기대됩니다."]

완성된 영상 콘텐츠는 이번 달 중순 한러 양국 SNS와 유튜브, TV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됩니다.

KBS 뉴스 오정현입니다.


[기사원문보기] http://news.kbs.co.kr/news/view.do?ncd=5116898&ref=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