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예약하기
프로그램명
 
일시
신청자명
연락처
- -
예약인원
비밀번호
(4자리)
예약하기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사전예약 완료
 
예약확인은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안내사항

관람을 원하는 프로그램의 ‘예약’ 버튼을 클릭한 후 정보를 입력하시면 현장에서 티켓으로 교환 가능한 문자가 발송됩니다. 공연 당일 해당 문자를 소지하시고 관람 20분전까지는 반드시 티켓으로 교환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선착순으로 마감됩니다. ‘마감’이라고 표시된 프로그램은 예약할 수 없습니다.(예약 취소 및 공석 발생 시 현장 참여 가능)

공연은 1인 4매, 체험의 경우 1인 2매로 예약 인원이 제한됩니다.

체험은 체험에 참여하실 인원만 신청바랍니다. 체험에 참여하지 않아도 현장 동행이 가능하니 어린이를 동반하는 부모님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예약 바랍니다.

티켓 분실 시 어떠한 사유에도 재 발행이 불가하며, 티켓 미소지 시 공연장 입장이 불가하오니 티켓 보관에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관람 20분전까지 티켓 미 수령 시 티켓은 현장 배부용으로 전환됩니다. 반드시 사전에 티켓을 수령 받으시기 바랍니다.

사전예약은 개별 공연(체험)별로 관람 전일 5시에 마감됩니다. 신청 시 참고 바랍니다.

공연 당일 티켓 교환은 공연 1시간 전부터 가능합니다.

공연 20분전부터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선착순으로 입장합니다.

신청 취소를 원할 경우 ‘ 나의사전예약리스트’ 페이지에서 반드시 삭제 바랍니다.

단체 예약은 별도 문의전화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나의 사전예약 리스트
나의 사전예약 검색
신청자명
연락처
- -
비밀번호
(4자리)
검색
안내사항

사전예약 시 입력하셨던 이름, 연락처, 비밀번호(4자리)로 신청내역 검색이 가능합니다.

신청 취소는 예약 마감일(10월05일)까지 가능하며 수정 시에는 인원만 수정이 가능합니다.

신청자명 또는 연락처 수정 시에는 삭제 후 다시 신청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의전화 : (063) 232 – 8394


ENG

 

언론 속 소리

[뉴스메이커] 전주세계소리축제,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와 영상 협연
관리자 | 2021-02-17 15:54:16 | 509

(뉴스메이커=최창윤 기자) 멀어진 듯 보이는 세상 속에서도 예술을 통한 연대의 가치는 꿋꿋이 이어지고 있다.

전주세계소리축제(조직위원장 김한, 이하 소리축제)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가 특별한 협업을 통해 찬 겨울을 덥히고 있다.

소리축제가 코로나19로 인해 미뤄진 한-러 수교 30주년 기념사업을 영상과 미디어를 통해 재개하고, 멈춰있던 양국 교류의 물꼬를 텄다.


사업명 ‘더 콜라주’…소리축제, 러시아와 영상으로 협연 작품 제작


사업명은‘더 콜라주’. 두 나라의 다채로운 전통예술을 네 개의 레퍼토리로 얽어 유서 깊은 문화예술 강국으로서의 자존심을 영상작품에 녹여내 대중들에게 동시 공개한다는 계획이다. 이 사업은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지원으로 1억원의 지원금을 받아 진행됐다.

소리축제는 판소리와 태평무, 설장구, 아쟁, 태평소 등으로 러시아 예술장르를 접목해 색다른 작품을 만들어 낼 예정이다. 러시아의 대표적인 문화예술 도시로 자긍심이 높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소재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가 주축이 돼 참여했다.

소리축제의 가장 큰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는 동서양 음악의 새로운 조합, 물 흐르듯 막힘없는 편곡과 세련된 연출 등이 이번에도 빛을 발했다.

소리축제는 실제 예술가들이 만나지 못하는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 측에 편곡한 악보와 설명을 보내고 그들의 연주장면을 영상으로 받았다. 이후 이 영상을 편집해 무대에 펼치고 이 무대에서 한국 연주자들이 실제 연주를 얹음으로써 동-서양, 온-오프라인 콜라보를 완성할 계획. 소리축제 특유의 무대 연출은 이번 작품에서도 눈길을 끈다.

좌우 옆면과 바닥에 대형 LED 패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러시아 팀의 연주와 그 나라 문화를 상징하는 사진과 영상들이 흐른다. 바닥까지 연결된 LED 패널이 독특한 볼거리와 감성을 이끌어 냈다.


엇모리 볼레로, 오케스트라와 설장구 등 이색 조합, 전통의 특별한 도전


소리축제는 이를 위해 지난 4일 오후 1시 한국소라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러시아에서 보내온 영상을 배경으로 한국 연주자들이 실제 연주를 펼치는 최종 영상 콘텐츠을 제작했다.

작품의 총연출을 맡은 소리축제 박재천 집행위원장은 “소리축제만의 장점을 살려 이질적인 두 나라 음악과 예술을 하나의 작품 속에 녹여내, 좌절의 시간을 딛고 새로움과 연대를 향해 나아가는 예술인들의 갈망과 열정을 담아내겠다”며 “수많은 영상물들이 공연시장을 대체하고 있지만, 소리축제는 이 속에서도 특별한 도전, 연대의 가치, 좀 더 다른 실험으로 유서 깊은 세계 전통음악의 허브로서 새로운 결과물을 창조해 내고 싶다”고 덧붙였다.

곡은 우도농악의 꽃이라 불리는 오채질굿으로 시작해 화초장 타령, 엇모리 볼레로, 아리랑의 순서로 이어졌다.

오채질굿은 농악 가락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가락으로, 소리축제는 설장구 4대의 편성으로 작품의 도입부를 장식한다. 뒤이어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의 연주가 더해져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색다른 오채질굿이 탄생한다. 설장구 팀에 유인상, 조상훈, 김주홍, 민영치 씨가 호흡을 맞췄다.

뒤를 이어 판소리 흥보가인 화초장 타령이 아쟁과 바이올린 솔로 연주가 덧입혀져 이색적인 화음을 만들어냈다. 아쟁 명인 김영길 씨와 바이올리니스트 세르게이 스타들러(Sergei Stadler)가 참여한다. 스타들러는 러시아를 대표하는 거장으로 바이올리니스트이자 상트페테르부르크 심포니오케스트라의 지휘를 맡고 있는 인물.

다음은 ‘엇모리 볼레로’. 러시아의 대표 발레곡인 볼레로와 한국의 대표 장단 엇모리의 이질적인 조합 위로 러시아 예술의 백미라고 하는 발레와 한국의 태평무가 음률을 타며 유려한 그림을 그렸다. 발레리나 아나스타시아 트리피노바(Anastasia Trifinova)와 한국무용가 복미경 씨가 출연했다.

대미는 상트페테르부르크 합창단(혼성4부)이 부르는 아리랑에 소리꾼 방수미, 박애리, 정상희 씨가 소리를 얹고, 태평소 곽재혁 씨의 솔로 연주가 가세하며 동서양이 빚어내는 색다른 선율로 마무리됐다.


 
▲ 모악당 무대 구성/최창윤 기자(사진=전주세계소리축제)


가장 예술적인 도시의 조우, 양국 전통에 대한 존중 배려 연대의 가치 높인다


한국 전통음악과 러시아 클래식 음악을 기초로 한 4편의 협연곡은 소리축제가 지향해 온 전통의 실험, 융합을 통한 창조, 양국 전통에 대한 존중과 배려 등의 가치가 오롯하다. 가장 예술적인 두 도시의 예술적 조우 속에서 탄생할 작품들이어서 더 기대가 높다.

무대 위에서 땀 흘리며 호흡을 맞추던 시간들을 뒤로하고 온라인과 영상으로 새로운 협연 작품을 만들고 있는 소리축제. 차갑게 얼어붙은 엄중한 시대에도 연대의 가치는 유효하다는 사실을 예술로써 증명하는 시간이 됐다.

한편 이번 촬영된 영상물은 후반작업을 거쳐 오는 2월 중순 경 완성된 공연물로 양국 SNS와 유튜브, 공중파 TV 프로그램 등에 공개될 예정이다.



[기사원문보기] http://www.newsmaker.or.kr/news/articleView.html?idxno=111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