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세계소리축제의 ‘별빛콘서트’는 엄숙하고 진지한 전문 예술공연이 아닌 대중과 호흡하고 소통하는 대중친화적인 공연 프로그램이다. 예술성을 견지하면서도 대중성과 축제성을 함께 만들어내야 하는 소리축제 입장에서는 그동안 ‘별빛콘서트’를 통해 다양한 관객이 축제에 참여하는 열린 기회를 만들었고, 소리축제의 외연을 넓히는 데 활용하였다.
코로나 19로 비대면으로 진행하면서 프로그램을 축소한 부분이 아쉽웠으나 어려운 상황에서도 ‘별빛콘서트’는 의도한 바를 충실히 실행하였다. 모두가 위축되고 우울한 시기에 역동적이고 청량한 퍼포먼스와 사운드는 충분히 위로가 되었다. 첫 시도치고는 영상과 음향의 송출 수준도 매우 높았다.
현장관람과 영상관람은 확실히 장단점이 뚜렷했다. 가장 큰 차이는 클로즈업 영상과 전 출연진의 마이크 사용 등으로 현장에서는 쉽게 알아채기 어려운 출연자의 컨디션 난조나 작은 실수, 그리고 스쳐 지나가는 표정 하나도 쉽게 알아 챌 수 있다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영상 공연은 공연자에게는 아주 극한 환경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수신자 역시 굳이 몰라도 될 것까지 알게 되는 것이 공연을 즐기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장점도 있었다. 영상공연에서는 R석, S석 같은 차이 없이 공연을 더 자세하게 관람할 수 있어서 좋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다.
이러한 공연환경 변화는 위협일까? 기회일까? 변화 자체는 위협이지도 기회이지도 않다. 그것은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활용하는가에 달려 있다.
20년이 넘는 연륜을 가진 소리축제가 여전히 젊고, 역동적이며 매력적인 축제가 되려면 변화를 더욱더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지금의 변화는 전적으로 코로나 19 때문만이 아니다. 이미 온라인과 모바일 기반의 비대면 문화가 확산 추세였고 코로나 19는 가속시켰을 뿐이다. 오프라인 시대에 소리축제는 어떤 공연을 만들 것인가가 중요했다면 온라인 시대로 가는 지금은 어떻게 공연을 전달할 것인가 라는 과제가 추가된 셈이다.
그래서 소리축제는 4차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의 발전을 어떻게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2020년 소리축제는 새로운 기술이라는 그릇에 공연예술을, 그리고 축제를 담아보는 실험을 했다. 비교적 성공적이었다. 하지만 예술성에 대한 실험이었기 보다는 축제공간에 대한 실험적 성격이 컸다. 한발 더 나아가 보자. 2021년에는 기술과 예술, 기술과 공연, 기술과 우리 음악을 어떻게 융합하여 새로운 공연예술을 선보일 수 있는지를 상상해 보는 실험으로 나아가 보자. /문윤걸(예원예술대학교 교수)
[기사원문보기] http://www.jjan.kr/news/articleView.html?idxno=2095890
-
이전글
-
다음글